실천하는 믿음 Practical Faith와 함께 하는
성문 기초 성경 강해입니다.
사무엘상 편입니다.

자 그러면 5장 시작합니다.
새번역으로 보겠습니다.
먼저 본문입니다.
1절부터 12절입니다.
1 블레셋 사람들은 하나님의 궤를 빼앗아서, 에벤에셀에서 아스돗으로 가져 갔다.
2 블레셋 사람들은 하나님의 궤를 다곤 신전으로 가지고 들어가서, 다곤 신상 곁에 세워 놓았다.
3 그 다음날 아스돗 사람들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보니, 다곤이 주님의 궤 앞에 엎어져 땅바닥에 얼굴을 박고 있었다. 그들은 다곤을 들어서 세운 다음에, 제자리에 다시 가져다 놓았다.
4 그 다음날도 그들이 아침 일찍 일어나서 가 보니, 다곤이 또 주님의 궤 앞에 엎어져서 땅바닥에 얼굴을 박고 있었다. 다곤의 머리와 두 팔목이 부러져서 문지방 위에 나뒹굴었고, 다곤은 몸통만 남아 있었다.
5 그래서 오늘날까지도 다곤의 제사장들과 다곤 신전에서 예배하는 사람들은, 아스돗에 있는 다곤 신전에 들어갈 때에, 문지방 위를 밟지 않고 넘어서 들어간다.
6 주님께서 아스돗 사람들을 무섭게 내리치셨다. 주님께서 그들에게 악성 종양 재앙을 내리셔서, 아스돗과 그 지역 사람들을 망하게 하셨다.
7 아스돗 사람들이 이것을 보고 "이스라엘의 신이 우리와 우리의 신 다곤을 무섭게 내리치니, 그 신의 궤를 우리가 있는 곳에 두어서는 안 되겠다" 하고 말하면서,
8 사람을 보내어 블레셋 통치자들을 모두 불러모아 놓고, 이스라엘 신의 궤를 어떻게 해야 좋을지를 물었다. 블레셋 통치자들이 이스라엘 신의 궤를 가드로 옮기자고 하였으므로, 아스돗 사람들은 이스라엘 신의 궤를 가드로 옮겼다.
9 아스돗 사람들이 그 궤를 가드로 옮긴 뒤에, 주님께서 또 그 성읍을 내리쳐서, 사람들이 큰 혼란에 빠졌다. 주님께서 그 성읍의 사람들을, 어린 아이나 노인이나 할 것 없이 모두 쳐서, 악성 종양이 생기게 하셨다.
10 그러자 그들이 하나님의 궤를 에그론으로 보냈다. 그러나 하나님의 궤가 에그론에 이르렀을 때에, 에그론 주민들은 "아스돗 사람들이 이스라엘 신의 궤를 우리에게로 가져 와서 우리와 우리 백성을 죽이려고 한다" 하면서 울부짖었다.
11 그래서 그들은 또 사람들을 보내어 블레셋 통치자들을 모두 불러모아 놓고 "이스라엘 신의 궤를 돌려 보내어, 그 있던 자리로 돌아가게 하고, 우리와 우리 백성이 죽지 않게 해주시오!" 하고 요청하였다. 하나님이 거기에서 그들을 그렇게 무섭게 내리치셨기 때문에, 온 성읍 사람들이 죽을 지경에 이르러, 큰 혼란에 빠졌다.
12 죽지 않은 사람들은 악성 종양이 생겨서, 온 성읍에서 비명소리가 하늘에 사무쳤다.
본문 요약들어갑니다.
- 블레셋 사람들이 언약궤를 자신들의 성읍인 아스돗에 있는 다곤 신전으로 가져갔다
- 그러자 다곤 신전에 신상들이 부서지고 악성 종양이 아스돗 사람들에게 임하였다
- 블레셋 사람들은 언약궤를 가드로 옮기고 에그론으로 옮기는데 보내는 곳마다 저주가 임하였다
- 블레셋 사람들이 자신들의 지도자들에게 언약궤를 돌려보내라고 요청했다
자 이제 내용을 보도록 합니다.
1) 아스돗으로 간 하나님의 궤
블레셋 사람들은 에벤에셀에서
이스라엘을 대파한 후에
빼앗은 하나님의 궤를
아스돗으로 가져갔다고 말합니다.
아스돗은 지도에서 보시면 에벤에셀에게
가장 가까운 블레셋의 거점 도시입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가장 큰
승리의 상징으로써 언약궤를
전리품으로 챙겨서는 아스돗에 있는
다곤 신전에 가져가 신상 옆에
세워두었다고 말합니다.
자기들이 믿는 신에게
하나님의 언약궤를 전리품으로
바친 셈이 되니
패전국이 되어버린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모욕하고
업신여기는 행위가 되겠습니다.
3절에 다음날 아침 일찍
아스돗 사람들이 일어나서 보니,
다곤신상이 주님의 궤 앞에 엎어져서
땅바닥에 얼굴을 박고 있었다고
말합니다.
자신들의 신이 이스라엘의 신에게
절을 하고 있는듯한 모습이니
다들 놀랐습니다.
그래서 얼른 신상을 세워서는
다시 제자리에 세워둡니다.
4절은 그 다음날에도 와서 보니,
이번에도 다곤 신상이
언약궤에 앞어져서 땅바닥에
얼굴을 박고 있는데,
머리와 두 팔목이 부러져서
문지방 위에 나뒹굴면서
몸통만 남은 상황이었다고 말합니다.
5절은 그래서 그날 이후로는
사무엘서가 기록되는
그 날까지도 다곤의 제사장들과
다곤을 섬기는 자들은,
그 아스돗에 있는 다곤 신전에
들어갈 때에는 자신들의 신의
머리와 팔목이 부러져서 널부러졌던
그 문지방을 밟지 않고
넘어서 들어간다고 말합니다.
이미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다돈 신도 절하게 만들 정도임을
보았으면서도 자신들의 우상을
믿고 신뢰하는
블레셋 사람들의 인본주의가
드러나는 구절입니다.
그러자 하나님이 이제
아스돗 사람들을 무섭게
내리치셨다고 6절은 말합니다.
갑자기 악성 종양이 내리니,
아스돗과 그 지역 사람들이
망하게 되었습니다.
블레셋은 한 왕이 통치하는
왕정 국가가 아니라
5개의 주요도시를 중심으로
각자가 자치권을 가지고 연합하는
연방국가입니다.
이 5개의 주요도시 중에 하나인
아스돗이 큰 곤경에 처하니
아스돗 사람들이 다른 블레셋 도시의
지도자들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7절에 아스돗 사람들은,
"이스라엘의 신이 우리와
우리의 신 다곤을 치시니,
그 궤를 여기에 두어서는
우리가 다 망하겠소이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8절에 블레셋 통치자들을
모두 불러모아서, 언약궤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물어봅니다.
사실상 아스돗에는 두지 말라는
말이 됩니다.
다른 지역의 통치자들은
아스돗의 경험을 하지 못하였으니
아스돗 사람들의 말을 믿을 수는 없지만,
자꾸 옮겨달라고 주장을 하니
결국 가드로 옮기기로 하였습니다.
2) 블레셋을 떠도는 하나님의 궤
이제 언약궤가 아스돗을 떠나니
아스돗 사람들은 안심하였을 것이고,
가드 사람들은 처음에 언약궤가
들어오는 것을 보면서 기뻐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이스라엘에 대한
승리의 상징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9절은 가드에 언약궤가 들어가자,
주님이 그 성읍을 치셔서,
사람들이 큰 혼란에 빠지게 했다고 말합니다.
이제 아스돗과 같은 악성종양이 남여노소를
가리지 않고 쳤다고 말합니다.
10절에 결국 가드 사람들도
감당을 할 수가 없으니
이 언약궤를 에그론으로 보내버립니다.
승리의 상징이고 전리품으로
블레셋 5개의 성이 가져가기를 탐냈을
하나님의 언약궤가 이제는
감당할 수 없는 저주를 몰고 오니
다들 받기를 거부합니다.
억지로 에그론으로 보내니
10절은 에그론 사람들이
언약궤가 오는 것을 보고서는,
"아스돗 놈들이 이스라엘 신의 궤를
우리에게 가져와서 우리와 우리 백성을
죽이려고 하고 있어!"라고 소리치면서
울부짖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울부짖음 그대로
하나님이 에그론에서도 블레셋 사람들을
무섭게 치셨다고 11절은 말합니다.
에그론 사람들이 결국 사람들을 보내서는
블레셋 통치자들을 모두 불러모아서
강하게 요청합니다.
"이스라엘 신의 궤를
이스라엘로 다시 돌려 보내서,
그 있던 자리로 가게 하고,
우리와 우리 백성이 죽지 않게
해주시오!"
11절에 에그론 사람들이
이미 죽어가고 있음을 말합니다.
게다가 12절은 거기서 죽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악성 종양이 생겨서,
온 성읍에서 비명소리가
하늘에 울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블레셋 통치자들이 계속
언약궤를 전리품으로 가지고 있기가
불가능해진 상황이 되었으니
이제 다시 돌려보내는 방법이
유일한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이제 약 7개월을 블레셋을
떠돌던 언약궤가 다시
이스라엘로 돌아가게 되니
사무엘상 6장의 내용이 되겠습니다.
자, 사무엘상 5장에서 이것만은 기억합시다!
1) 블레셋 사람들은 언약궤를 전리품으로 자신들의 신전에 두었다
2) 주님은 신전의 우상들을 치시고 언약궤를 둔 블레셋 성읍을 질병으로 치셨다
3) 블레셋 지도자들은 언약궤를 블레셋 다른 지역으로 옮겨도 보았지만 저주는 계속되었다
이것이 되겠습니다.
'구약성경 - 성문 기초 성경 강해 > 사무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엘상 7장 - 성문 기초 성경 강해 - (0) | 2025.04.20 |
---|---|
사무엘상 6장 - 성문 기초 성경 강해 - (0) | 2025.04.19 |
사무엘상 4장 - 성문 기초 성경 강해 - (0) | 2025.04.18 |
사무엘상 3장 - 성문 기초 성경 강해 - (0) | 2025.04.18 |
사무엘상 2장 - 성문 기초 성경 강해 - (0) | 2025.04.18 |